검색결과 리스트
글
기네스북에 올랐다는 스타리움에서 3D로 먼저 보았는데 색이 좀 톤 다운 된 것 같다.
화려하고 형광의 색이 표현되야 할 듯한데 칙칙한 느낌이어서 더 밝았으면 좋겠다란 생각과 함께 흐릿한
영상덕에 계속 눈이 좀 아팠다.
스크린이 3D 전용관도 아니고 큰 화면에 3D영상을 쏘니 초점만 잘 맞춰줘도 황송?
화소들이 알알이 눈에 띄는 느낌이라 흐릿..
화질-선명도가 낫고 색의 톤 또한 그 선명도 덕에 한톤 올라간 느낌이지만
다른 이들이 말하는 것처럼 훨씬 더 밝다는 잘 모르겠다.
그냥 보다보면 눈에 익숙해져서 그러려니.
아무래도 일반관으로 한번 더 봐야 할 것 같다(집착작렬..)
어쩌면 아이맥스로 먼저 보지 않고 스타리움으로 먼저 봐서일지도 모르겠지만
화질과 선명도만 보강된다면 개인적으로 스타리움이 더 좋은 것 같다.
좌석도 좋지만 아바타라는 영화 자체의 속성상 거대함과 위압감 및 좀 더 경탄스러움을 자아내려면
일단 화면이 커야 효과적일 것이다.
스타리움에서 먼저봐선지 아이맥스의 화면이 작아보이고 판도라의 거대하고 웅장한 자연이 잘 느껴지지 않았고
거기다 새로 생겼다보니 3D입체 안경이 좀 무겁긴 하지만 더 멋지다.
3D입체 안경이란게 편광렌즈이므로 한쪽눈의 시력이 좀 더 나쁘거나 난시가 있다면 좀 불편하고 간혹 흐릿하게 보일 수도 있다.
(말이 렌즈지..그냥 플라스틱같아 보임--)
스타리움은 별로 못 느꼈는데 아이맥스에서는 보는 내내 좀 불편했었다.
아무래도 아이맥스의 영상이 더 입체감있고 또렷하다보니 시력의 차이가 더 느껴지는 것 같다.
일단 추천순서는.. 화질을 원한다면 스타리움으로 먼저 보고 아이맥스로 보는 게 좋겠고..
스케일로 본다면 반대의 순서를 추천.
이상적인 것은 스타리움의 스크린 크기에 아이맥스 스크린의 기울기와 입체적 효과가 합쳐지면 좋고..
더 좋은 것은 앞으로는 그런 안경 필요없이 FULL 3D를 감상할 수 있으면 Good.
여담-
시고니 위버가 판도라는 네트워크 덩어리라고 하니 공각기동대가 떠올랏다.
공각기동대는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세상에서 개인의 정체성, 아이덴티티를 어떻게 규명하는가라면
판도라는 개인이 아닌 자연과 합일된 공동운명체.
미주의 영화들을 보면 주로 자연을 정복하고 재개발의 대상으로 보는데
자연과 나비족, 판도라 행성자체가 본연의 것으로 유지되어야 하며 하나의 생명체로 보는게 흥미롭다.
현재의 세태에 맞춰서 스토리가 흘러가는 것이겠지만 이러한 동양적인 사상덕에 더 큰 반향을
불러 일으킨 건지도..
(기존의 영화들처럼 미개한 나비족을 싸그리 쳐부수고 위풍당당 언옵타늄을 얻어간다면 감동과 여운이
남지 않고 스펙타클 초 울트라 액션의 스트레스 해소용이 되었을 것이다. 나비족이 되어서 판도라에서
살고 싶어요 따위는 없음)
영화를 보다보니 네이티리가 속한 부족은 오마타카야란 이름인데 다른 부족들은 동해의 이크란족,
평원의 호오스족.
이름짓기가 귀찮았던 걸까? ㅋㅋ
게다가 미셀 로드리게즈는 언제나 비슷한 캐릭터에 혼자 죽는 역이었던 듯 ㅠㅠ
(ex 에일리언)
제이크가 그레이트 리오놉테릭스를 타고 날아오는 장면에서 나비족들은 토루크 막토가 되어 돌아왔다는 이유로
모든 의심과 원망을 접게 되는데..
뭐 그레이트 리오놉테릭스가 생긴것도 더 강렬하고 커서 그런 업적을 행했다는 이유만으로도 영웅이 될 수도
있지만 그것이 개인의 정직성을 나타내진 않을텐데 네이티리는 무서웠다고 말하며 앞서 모든 일을 다 잊은 듯
하더라.
가난한 배우자가 어느 부잣집 배우자를 얻기 위해 사실을 말하지 않고 사귀다가 들통나서 떠났다가..
부잣집이 망하고 이 가난한 배우자는 어디 가서 다이아 큰거?를 하나 들고 오자 앵앵거리며 무서웠어 하면서 결혼?
뭐냐 네이티리--
보고 새삼 느낀게 있다. 인생은 한방이다 -.-
RECENT COMMENT